본문 바로가기

경상도

[영주]물 위에 떠 있는 섬과 같은 마을 - 무섬마을

 

 

물 위에 떠 있는 섬과 같은 마을 - 무섬마을

 

2014년 11월 11일

물위에 떠 있는 섬과 같은 마을 영주 무섬마을에 들린다.

 

 

지도에서 왼족 무섬마을을 이어주는 수도교는 1983년, 길이 180m, 5.5m 만들어 졌다..

다리 폭이 좁아서  버스는 수도교 들어가기전 주차장에 주차하며.

소형차는 수도교를 지나 마을 입구 주차장을 이용한다.

수도교가 건설되기 전에는 무섬마을 주민들은 외나무다리(지도 오른쪽 아래)를 이용하여 강을 건넜다

 

 

물 위에 떠 있는 섬, '무섬마을(수도리 전통마을)

 낙동강 지류인 내성천(乃城川)이 마을의 3면을 감싸안고 흐르고 있으며 그 가운데 섬()처럼 떠 있는 마을이다.

  물 위에 떠 있는 섬을 뜻하는 수도리(水島里)’의 우리말 이름이다.

 

아름다운 자연과 고가(古家) 그대로 보존된 전통마을인 무섬마을은

2013822일 국가지정문화재 중요민속문화재 제278호로 지정되었다

 

지도에서.... 숫자가 있는 집에서 전통 민박을 할 수가 있으며,

지도 14번 김한직 고택 에서 국화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민박과 무섬마을에 관한내용은 무섬마을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좋을듯하다

http://www.무섬마을.com/]

 

 무섬마을의 역사는?

 1666 반남(潘南) 박씨인 휘() 수가 이곳에 처음 터를 잡은 후 선성(宣城) 김씨가 들어와

박씨 문중과 혼인하면서 오늘날까지 두 집안의 집성촌으로 남아있다.

현재 약 48가구에 100여명의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다고 한다. 

 

약 350년의 역사를 간직한 영주 무섬마을에는

 9개의 가옥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및 경상북도 민속자료로 지정되어 있으며

역사가 100년 넘는 가옥도 16채가 남아 있다

 

 

[경북 민속자료 지정된 가옥]

 해우당고택(경상북도 민속자료 제92), 만죽재고택(경상북도 민속자료 제93)

김덕진가옥(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17),  김뢰진가옥(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18)

 

[경북 문화재자료로 지정죈 가옥]

김위진가옥(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60   김규진가옥(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61

김정규가옥(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62)   박덕우가옥(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63

박천립가옥(경상북도 문화재자료 364)

 

 

해우당고택

선성 김씨 입향조 김대의 세째집 손자 김영각이 1836년 건립하고,

의금부도사를 지낸 해우당 김낙풍이 1879년 중수한 가옥으로 수도리에서 규모가 가장 크다.

사랑채에 걸려있는 해우당의 편액은 흥선 대원군의 친필이다.

 

 

만죽재

무섬마을을 개척한  반남박씨(潘南朴氏) 입향조인

 박수(; 1642~1729)가 1666년 지은 집으로 'ㅁ'자형 구조의 가옥이다

원래 당호는 섬계초당이었으나 입향조 8대손인 박승훈이 중수하면서 그의 호를 따라  만죽재(晩竹齎)가 되었다.

*섬계 - 중국 섬계 지역의 지형과 비슷하다고 하여 섬계마을이라고도 부른다.

 

 

까치구멍집

까치 구멍집이란, 경상북도 북부산간벽촌의 서민주택으로 방과 마루 등이 집 안에 있어

고 긴 겨울에 모든 생활이 집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의 집으로,

지붕 마루 양단의 하부 박공 부분의 구멍으로 까치가 드나들었다 하여 까치 구멍집이라 한다.

 

 

 

김정규가옥

개방적인 초가 형태의 까치구멍집으로 사랑방 앞에 2칸짜리 마루가 있는것이 특징이다

 

 

 

 

 

 

 

김광옥 가옥(마당넓은집)

김광옥 가옥(위당고택)은 예안김씨 입향조인 김대(1732~1809)선생의 집으로

베스트셀러 [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의 저자 전우익 선생의 외갓집이기도 하다.

민박체험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마당 넓은집 블로그를 참고하면 좋을듯하다.

http://musomeday.blog.me

 

 

무섬 마을 16동의 고택에서 전통 한옥 민박을 운영하고 있다.

 

 

무섬자료 전시관

지상 1층 규모로 내부 전시실은 총 5개의 테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주무섬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향토전시관이다.

 

 

무섬마을에는

 30여 년 전에 없어진 다리를 복원하여 매년 10월 '외나무다리 축제'가 열린다.

건설교통부의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 선정된 무섬 외나무 다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이 축제는

뭍과 섬을 잇는 다리처럼, 현재와 과거를 이어주는 축제로 

씨름대회와 농악한마당, 사또행차, 과객 맞이하기, 참석자 전원 다리 건너기 체험 등이 마련된다.

 

 

 외나무 다리 길이 150m,  높이 60cm, 다리폭은 30cm.

 세차게 흐르는 다리 아래 물을 보면서 다리폭 30cm  다리를 걷는일은 생각보다 쉽지가 않다.

 

 

지는 햇살에 물든 황금빛 내성천....곡선으로 휘어진 아름다운 외나무다리...

 그리고 다리를 걷는 사람들의 환상적인 어울림 

 

 

이런 모습을 카메라에 담기위해 이곳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무섬마을 관광 안내소를 지나 마을길로 따라 들어가면,

 무섬음식점 골동반, 김갑진 고택. 국화전시회가 열리고 있는 김한직 고택이 나온다 (지도14번)

 

 

국화향 가득한 김한직고택의 국화전시회

김한직고가에서도 민박체험을 할 수가 있다.

 

 

 

 

 

 

아름답게 피어있는 국화꽃을 보면서...

무섬마을 들어오는 마을입구에... 국화전시회를 알리는 안내판이라고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생긴다

 

  

무섬마을의 먹거리 - 무섬골동반

 궁중에서 먹던 비빔밥인 골동반과 퇴계 이황선생이 소수서원에서 유생들가 즐겨먹던 선비정식을 맛볼수 있다.

골동반(骨董飯)은 옛날 궁중에서 먹던 비빔밥으로,

특히 남은 음식은 해를 넘기지 않는다고 하여 음력 1230일인 섣달그믐날 저녁에

남은 음식을 모아 비벼먹으며 한해를 마무리하는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하다.

홈페이지 : http://www.museomfood.com (무섬골동반)

위치 : 경북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268

문의 : 054-634-8000, 070-8815-8008

 

 

관광안내소 옆으로 김성규 가옥(조치훈 처가) 안내판이 있는데, 어떤 가옥인지 ...찾기가 힘들다.

 

 

김성규가옥(조지훈 처가)

이 가옥은 독립운동가인 양선 김성규의 가옥이 있던 자리에 복원해 놓은 것이다

김성규는 무섬마을의 만운고택에서 김휘걸의 차남으로 태어나 장남인 김호규와 각별한 우애를 나누며

같은 울타리 안에 집 두채를  나누어 살았는데 홍수로 인해 김성규 가옥이 유실됨에 따라

이곳으로 이사하여 살았다. 그러나 이 가옥마저 수해와 풍화를 겪으면서 페옥이 되어 빈 터로 남아있던중

1999년 무섬마을이 경상북도 유교문화권 사업 대상지역로 지정되어 김성규 옛 가옥이 복원 되었다

김성규는 무섬마을에 아도서숙을 설립하여 문맹퇴치와 농촌계몽에 힘쓰는 한편 지역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1928년 8월 일경에 체포되어 금고 8월을받아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1993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청록파 시인 조지훈은 김성규의 장녀인 김위남과 결혼하여 신혼초 자주 이집에 머물렀으며

그 무렵에 이 마을을 배경으로 남긴 시가 바로 '별리'이다

 

 

총퇴정 앞에 있는 박제연님의 시비에서....  시를 읽으며 무섬마을의 풍경을 내 기억속에 담는다.

 

나의 조용한 삶

평온한 시냇가 한 구비 물가에다 조용한 나의 살 곳 정했도다

초원 모래톱엔 송아지 잠들고 밝은 모래밭엔 해오라기가 평온하네

산 빛은 마땅히 나의 집 비추고 물굽이 감기는곳 난간이 떠 있는듯

어부아 나무꾼 이야기도 끝나기전 어느새 둥근날 누각위에 떠 있네

 

*박제연 (1807-1890)이곳 무섬에서 태어나서 병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및 동지춘추관사를 지내셨음)

 

옛 모습 그대로 남아있는 '수도리 전통마을' 무섬마을

우리나라 아름다운 여행지이다.

 

 

무섬 가는길 [승용차]

서울 경부(중부)고속도로 신갈(호법) I.C 영동고속도로 남원주 I.C 중앙고속도로 풍기I.C 영주

[소요시간 : 서울에서 영주까지 2시간 30]

부산 경부(구마)고속도로 대구 중앙고속도로 영주 I.C 영주

[소요시간 : 대구에서 영주까지 1시간 30]

[기차]

중앙선 상행 : 부산 영주(13), 대구 영주(14) 중앙선 하행 : 청량리 단양 풍기(110) 버스

영주 : 동서울터미널 (130) 영주 : 북부시외버스정류소(130),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121) 시내버스

 

 

[버스] ....영주 무섬(소요시간 20) (1일 5 

 

무섬마을 홈페이지

http://www.무섬마을.com/

 

영주시 문화관광 홈페이지

http://tour.yeongju.go.kr/open_content/tourist_attractions/eight_scene/moosum_vill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