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우루무치 돈황

실크로드의 거점-오아시스도시 - 하미(哈密)

느티n버들 2015. 2. 10. 10:14

 

 

<지도사진-둔황박물관>

 

실크로드의 거점-오아시스도시 - 하미(哈密)

 

둔황에서 기차와 버스로 이동하여 하미(哈密)시에 도착한다.

 

실크로드(비단길)는, 

중앙아시아의 오아시스 사막길과 대륙북방의 초원길, 해양으로 가는길 3개의 길이 있는데

우리가 말하는 실크로드는 오아시스 사막길이다.

오아이스 사막길은 기원전 2세기 장건에 의해 개척되었으며

서안에서 시작하여 둔황, 중앙아시아 사막길을 거쳐 이스탄불(동로마 수도)까지의 길이다.

 

오아시스 사막길은

천산산맥(텐산산맥)을 경계로 둔황에서 천산북로(둔황의 옥문관)와 천산남로(둔황의 양관)로 나뉜다

하미는 실크로드의 천산남로(둔황 -타클라마칸 사막)

 와 천산북로(둔황- 하미- 우루무치- 탸수켄트)가 모두 연결되기 곳에 있기 때문에

지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실크로드의 거점도시이다. 

 

하미(哈密 합밀  Hāmì ) - 위구르어로 '쿠물 Qumul' 이라고 불려지고 있는 하미는,

한나라 때는 '이우(伊吾)',  당나라 때는 '이저우(伊州)'

원나라 때는 이 지역의 몽골 이름인 '카밀(Qamil)'로 불렸으며

중국어로 '하밀리'로 번역되었는데 명나라 때 하미(哈密)로 개칭되었다.

예수회 선교사였던 마테오리치는 1615년에 이 도시를 "카물(Camul)"로 세계에 알려는데, 영어로는 'Kumul' 로 표기된다.

 

 

신강웨이얼자치구(新疆维尔自主区)에 속하며 신강자치구 수도 우루무치에서 578km, 기차로 7시간 정도 소요된다.

 

 

간쑤 성[甘肅省]둔황에서는  420km 떨어져 있으며, 버스와 기차를 이용해서 하미로 들어온다.

간쑤성에서 중앙아시아와 서역으로 가는 거점도시로 1949년 철도와 간선도로가 놓여 중국전역으로 이어진다.

 

<사진-회왕릉>

 

하미 면적은 15만㎢ (남한의 1.7배) 인구 53만명,  한족이 67%, 위구르족 25.3%,

청나라 건륭제때 하미는 자치권을 인정받은 하나의 왕국이 되었는데, 청나라가 멸망후 하미도 같이 없어졌다.

하미왕국의 관한내용은 하미시에 남아있는 회왕릉에서 찾아볼수 있다.

 

하미의 기온은,...   비가 오지 않는 여름에는  최고 43C, 겨울에는  최저 영하 32C, 또한  낮과 밤의 온도차가 무척 심하다, 

 연평균 강수량도 35,  건조한 도시이며, 지하자원으로 석탄과 석유가 많이 나온다.

 

<하미 박물관 - 돌로 만든 하미과>

천산의 물을 끌어들여 지하에 수로를 만들어  농사를 짓고 있으며,.

달고 맛잇는 하미과(哈密瓜 hā mì guā)는 하미 지역을 대표하는 과일이다

기온차가 심한 까닭에 하미 지역에서 나오는 과일의 당도는 셰계 최고의 수준이다.

 

 

과일 중의 으뜸이라는 달고 맛있는 하미과

 

 

<사진 - 마귀성)

하미의 주요 관광지는?

마귀성(하미 서쪽 90km)과 하미회왕릉, 하미회왕궁, 하미박물관(하미 시내 2km),

빠리쿤 초원(하미 동쪽 145km), 백석두(70km) 등이 있다.

 

 

빠리쿤 초원

 

 

하미시내에 있는 하미박물관

 

 

하미시에 있는 봉화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