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서안

청동거마가 있는 진시황 병마용 종합 전시청(1)

청동거마가 있는 진시황 병마용 종합 전시청(1)

1.2.3호 병마용갱 옆에는 병마용갱에서 나온 유물이 전시되어 있는

진시황 병마용 종합 전시청(秦始皇兵馬俑綜合展示廳)이 있다.


진시황 병마용 종합 전시청(秦始皇兵馬俑綜合展示廳)에 들어가니

1층 중앙에어린소녀의 손을 잡고있는 커다란 병마용의 모습이 보인다.

정면벽에는 진시황릉의 사진이 걸려있고,

1층 안쪽이진시황제의 청동거마가 전시된 기념관이다.

2층 전시관에는 2009년 10월 10일부터진시황릉원출토유물전이 열리고 있다.


2008년 북경올림픽 전시용으로 제작된 병마용과 어린소녀를 소개하는

안내판에 마리오네트 [marionette]라고 씌여져 있다.

마리오네트는 팔・다리・머리에 줄을 매달아 움직이는 인형을 뜻하는데

인형에 줄이 달린것을 보면 2008년 북경올림픽 기간중에

움직이는 인형으로사람들의 시선을 끌었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올림픽후 이곳으로 옮겨와서 전시되었는데

평화와 우정을 상징하며,과거와 현대의 만남을 의미한다.

병마용의 키는 7.2m, 무게는 654kg.

어린소녀인형의 키는 4.5m, 무게는 208kg,

큰 병마용 앞에는 이 전시관을 들린 관광객으로 붐빈다.


청동거마가 있는 전시실에 들어가니전시실 벽에는 출토당시의 사진이 걸려있다,

출토시 2대의 청동거마(수레)는 길이 약 7m, 넓이 약2.3m의 대형 나무관 속에

앞 뒤로 서쪽을 향해 놓여 있었다.

출토된 순서에 따라 1호와 2호로 구분한다.


1978-1980년 진시황릉 봉토에서 서쪽으로 20Km 떨어진 갱에서 출토된

진시황릉 청동거마는 현재까지 중국에서 발견된 고대 청동 거마중에서

가장 크고 화려하며 구조가 완벽하다.

금과 은과 청동으로 만들어진 청동거마의 총무게는 2,302kg인데,

실제의 말과 마치의 1/2 정도이다.


진시황릉 1호 청동거마(秦始皇陵一號銅車馬)는

황제의 수레 행렬중 선도차로 입거(立車)라고 불린다.

청동 말의 높이는 약 90cm, 길이는 약 110cm, 무게는 170~200Kg,

수레의 차체 너비는 126Cm, 길이 70Cm.

청동우산은 직경 122cm

청동우산아래에는청동어관용(御官俑)이 서있다.

청동 방패와 궁노, 화살촉 등의 무기도 있다.



진시황릉 2호 청동거마(秦始皇陵二號銅車馬)는

안거(安車)라고 불린다.

네모진 수레위에는 원형으로 만든 덮개를 덮음으로,

중국 고대의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지다는자연관을 구현했다.

청동거마의 길이는 3.17m, 높이는 1.06m, 중량은 1,241Kg이다.


앞부분은 어관의 자리이고 뒷부분은 주인의 좌석이다.


뒤에도문을 내었으며

좌우 양측과 앞에 창문을 각각 하나씩 있다.


1호 청동거마의4마리의 말의 동체는 흰 색을 칠하였고,

면부에는 금방울이 장식되어 있으며, 목 밑에는 장식용 술이 달려 있다.

말의 키는 모두 90Cm, 길이는 약 110Cm이다.

두 참마의 목에는 금은고삐가 매어져 있는데,

그 중 왼쪽 참마(사진)의 이마에는 이 수레가 황실전용임을 표시하는 깃발이 꽂혀 있다.


진시황릉 동거마는 현재까지 중국에서 발견된 동거마 중

제일 크고 장식이 가장 화려하며,정교하고, 완전하게 보전된 청동거마이다.

청동거마는 고대 수레제조와황실의 복식을이해하는데

아주 소중한 실물자료이다.

진나라 청동거마에 대한 자료가 씌여진 나무조각판을 한쪽벽에 전시해 놓았다.


1층벽에는 병마용갱과 청동거마가 발굴되기전 상태의 모습과

병마용갱위에지어진 병마용갱 박물관 모습과 정원 모습을 촬영한사진이 걸려있다.


1층 벽 전면에는 발굴되지 않은 진시황릉의 대형사진이 걸려있다.


병마용에서 1.5㎞ 떨어진 진시황릉은 완공 당시 전체 부지는 50㎢, 봉분 높이는 120m로

규모로는세계 최대의 황제 능원으로 1987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전시황병마용종합전시청 2층 유물전시실에 전시된사진)


전시실을 나와 이곳에서 1.5km 떨어진 진시황릉은

차창관광으로 버스속에서 산처럼 큰 황릉을 보면서 그냥지나갔다.

아쉬움....

수은이 흐르는 수백 개의 강이 진시황릉 주위를 흐르고 있고,

발굴하는 기술 상의 문제도 있고 해서, 진시황릉의 발굴을 미루고 있다고 한다.

진시황릉이 발굴이 되면 다시 올 수 있을려나?



진시황릉 근처에는 발굴되지 않은 진시황릉의내부모습을

자료를 통하여 재현한 지하궁전이 있다.

아방궁을 모방해서 화려한 모습으로 만든지하궁전내부에는

천상과 지상의 세계를 만들어 화려하게 꾸며 놓았는데,

어딘가 어색하고 몇 %부족한 느낌을 받았다.

'<중국>서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산-서안  (0) 2010.03.30
진시황 병마용 종합 전시청(2)-진시황릉 문물전시  (0) 2010.03.30
진시황 병마용박물관  (0) 2010.03.29
섬서역사박물관  (0) 2010.03.28
대자은사.대안탑,광장  (0) 2010.03.28